전체 글(2)
-
소화기 설치기준
1. 소화기 설치 대상- 특정소방대상물이 설치대상으로 법령에 찾아 본다면 결론은 모든 건물들이 대부분 소방 대상물이다. 결론은 모든 건물 2. 소화기 설치 대상의 소화기 선정 방법 1)특정소방대상물 용도/면적에 따라 최소 필요한 소화기 개수를 구한다.2).보행거리를 고려하여 미달시 추가할 소화기 개수를 구한다3).구획된 실이 33㎡ 이상이라면 추가할 소화기 개수를 구한다4).부속용도별(보일러실, 주방, 통신실 등) 추가할 소화기 개수를 구한다. 1) ->2)->3)->4) 순서대로 검토하여 구한다. 3. 소화기구 능력단위 설치 기준특정소방대상물소화기구의 능력단위위락시설해당 용도의 바닥면적 30㎡(60㎡)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ㆍ문화재ㆍ장례식장 및 의료시설해당 용도의 바닥면적 50㎡..
2025.01.25 -
법적 소방설계 대상
1. 소방설계란?건축물을 건축허가를 받을 때에는 소방시설을 고려하여 건축의 허가를 득하여야 하는데 이를 소방설계를 하여 허가를 받아야합니다. 2. 건축물 허가시 소방서의 허가를 받아야하는 소방 대상물(즉 법적 설계대상)1.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7조⑴ 연면적 400㎡ 이상 (단, 학교시설은 100㎡, 청소년시설 및 노유자시설은 200㎡ 이상)⑵ 차고 및 주차장용도로 사용되는 시설 (다만 바닥면적 200㎡이상인 층이거나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20대이상 주차할 수 있는 시설)⑶ 항공기격납고, 관망탑, 항공관제탑, 방송용 송수신탑⑷ 지하층 또는 무창층으로 바닥면적 150㎡이상인 층이 있는 건물(공연장은 100㎡이상)⑸ 위험물제조소등, 가스시설 및 지하구출처 : https://ww..
2025.01.25